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5

[거시 경제] 경제안정화정책 (재정/통화) 오늘은 경제안정화정책에 대해 알아보겠다. 경제안정화정책에는 크게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있다. 1. 재정정책 (정부 주관)1) 정부 지출 지출 증가 -> 생산량, 고용 증가 -> 소득 수준 증가 -> 총 수요 증가 2) 조세 정책 (수입) 세율 낮춤 -> 가처분소득 늘림 -> 총 수요 증가 2. 통화금융정책 (중앙은행 주관)경기 고려 중앙은행 기준금리 설정 -> 금융시장의 금리(한국-7일 RP, 미국-연방기금금리)가 기준 금리와 일치하도록 통화 공급량 조절 1) 공개시장운영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 개입 중앙은행이 채권시장에서 국공채를 매입하고 현금 지급 -> 시중 통화 공급량 증가, 시장 이자율 하락 -> 총 수요 증가 (보통 채권 매도자들은 금융기관, 일부의 경우 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직접 사기도 .. 2024. 4. 24.
[거시 경제] 상관 계수 오늘은 상관계수에 대해 알아보겠다. - 금 vs 은 : + - 금 vs 달러 : - (화폐 가치가 떨어지면 재화 가치가 오른다) - S&P500 vs 국내 부동산 : - - 코스피 vs S&P500 : + - 코스피 vs 기준금리 : + - 코스피 vs 금 : - (금이 경기 방어 역할) - 코스피 vs 달러 : - (사람들이 국내 주식을 팔고 환전하여 해외 주식에 투자) - 코스피 vs 회사채 금리 : - (코스피 떨어지면 회사 부도 위험성이 커지므로 회사채 가격 하락, 금리 상승) 이상으로 상관계수에 대해 알아보았다. 다음엔 더 유익한 포스팅으로 돌아오겠다. 2024. 4. 20.
[세금] 연말정산 오늘은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겠다. 앞서 설명하였듯이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의 경우 종합소득금액이 곧 근로소득금액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연말정산 := 급여 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일 즉, 결정 세액과 기납부세액(원천징수한 세액)을 비교하여 연말에 정산하는 일이다. 그럼 본격적으로 결정 세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순서대로 알아보자 1. 총 급여 = 연간 근로소득(연봉) - 비과세 소득 2. 근로소득금액 = 총 급여 - 근로소득공제여기서 근로소득공제 시 총 급여 구간에 따른 공제 비율이 차등 적용되며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. 3. 종합소득 과세표준 = 근로소득금액 - 소득공제 여기서 부터가 중요한데 다음의 소득공제 항목을 잘 알아두자1) 기본공제 (인적공제)근로자 본인, 연간.. 2024. 1. 7.
[미시 경제] 04 시장실패와 소득분배 오늘은 미시경제의 마지막 내용인 시장실패와 소득분배에 대해 알아보겠다. 시장실패 현상 : 1. 독과점 2. 공공재의 문제 3. 외부효과의 문제 4. 역선택/도덕적해이 경합성 := 한 사람의 소비가 다른 사람이 소비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줄이는 특성 배제성(배제가능성) := 재화를 소비하고자 하면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만 하는 특성 성질/구분배제성강함약함경합성강함사적재공유재(=공유자원) ex) 천연자원, 공유지, 깨끗한 물과 공기, 사무실 공용 비품약함클럽재 ex) 회원제 테니스 클럽, 영화관, 놀이공원, 케이블 TV공공재 ex) 국방 서비스, 위생시설,무료 Wi-Fi, 일기예보 외부 효과 := 어떤 경제주체의 경제행위가 다른 경제주체들에게 기대되지 않는 편익(한계외부편익)이나 비용(한계외부비용)을 발생시.. 2023. 12. 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