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5

[미시 경제] 02 수요와 공급 -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오늘은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개별수요와 시장수요를 핵심 용어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. 선호 := 취향과 필요 효용 := 재화의 소비로부터 오는 만족감 또는 심리적 가치 개별수요 := 주어진 시장가격에 대해 개별 소비자가 구매하길 원하는 재화의 최대 수량 지불의사가격(=지불용의가격, 유보가격) := 소비자가 어떤 재화의 소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가치 대체효과 :=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해당 재화의 소비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하락한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는 효과 소득효과 := 소득 증가(or 가격 하락)로 소비자가 구매 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늘어나 소비자의 구매력을 향상시켜 수요가 증가하는 효과 cf) 여기서 가격 하락은 결국 실질적 소득 증가를 의미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수.. 2023. 11. 11.
[미시 경제] 01 경제학의 기초 오늘은 경제학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겠다. 매일경제신문사의 "매경TEST 공식 가이드" 를 참고하였다. 재화(=상품) := 음식과 커피 기계처럼 유용한 물리적 실체로서 경제주체의 거래 대상이 되는 것 서비스(=용역) := 대중교통 운전, 음식 서빙과 같은 것 경제적행위 :=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교환, 소비하는 일체의 활동 경제주체 : 가계(소비주체), 기업(생산주체), 정부 (분배주체) (+외국) 경제활동 : 소비, 생산, 분배 경제객체 : 재화, 서비스 생산물(=산출물) := 재화, 서비스 생산요소 : 노동, 자본, 토지 (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요소) 희소성 :=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자원이 충분치 않은 상황 자유재 := 별도의 생산 활동을 통해 공급되지 않아도 그 양이 충분하기.. 2023. 11. 11.
[재무 설계] Step.6 통장 쪼개기 (feat. 기간 별 자금 유형) 오늘은 통장 쪼개기에 대해 알아보겠다. 이전 포스팅에서 자금은 기간별로 단기, 중기, 장기 자금으로 나눌 수 있다는 걸 배웠다. 다음은 각 자금별 특징이다.자금 유형특징기관상품단기 자금 (3년 이내)유동성 높음, 안정성 높음은행예/적금, CMA중기 자금 (3~10년)유동성 보통, 물가상승률 상회증권사주식, 펀드, ETF 장기 자금 (10년 이상)유동성 낮음, 물가상승률 상회, 복리효과보험사연금 보험, 연금 저축, 부동산, 달러, 금 이제 본격적으로 통장쪼개기에 대해 설명하겠다. 개개인별로 다르겠지만 필자는 목적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통장을 분류 하였다. 통장의 분류 : 1) 수입 통장 (=월급, 급여 통장) 2) 지출 통장 (=생활비 통장) 3) 저축 통장 4) 투자 통장 이제 통장 별로 어떤 .. 2023. 10. 29.